2016.10.5 - 11.17 국립한글박물관 원도, 두 글씨장이 이야기 Wondo (Typeface Orignal Drawing), Story of the Two Designers 최정호, 최정순 탄생 100주년 기념 전시 /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Choe Jeong-ho & Choe Jeong-sun
서체하나가 디자인전 체의 분위기를 좌우할 만큼 중요합니다.
그동안 써왔던 폰트가 당연하게 그냥 있는 것이 아니란걸 새삼 깨닫고, 서체디자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디지털 세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서체 개발에 힘써주신 여러 디자이너들이 있기에 서체 디자인이 이어지고 이어져 지금의 시대까지 오게 된 것 같습니다.
제목용, 꾸밈용 예쁜 모양의 서체들이 많이 다양해진 시대에요.
디지털 미디어가 개발되기 훨씬 전부터 서체개발에 힘쓴 대표적인 디자이너 두분을 만나보는 전시이기에
기분 좋은 마음으로 국립 한글 박물관을 향했습니다.
뜨거운 활자 납활자
차가운글자 사진활자
서체 개발 역사에대해 간략하게 소개해주고있는 코너입니다.
청타기
1970년대
청색 활자로 된 평판의 글자를 타이프라이터 원리로 전용용지에 찍는 기계라고 합니다.
일반 타자기와 다르고 활판의 색상이 푸르러서 청타기라 불렸으며 납인쇄기에서 사진식자기로 넘어갈 무렵 사용되었답니다.
청타기에 담긴내용은 최정순 선생님의 활자로 애국가를 인쇄한 모습입니다.
최정호 선생님의 걸어오신길을 간략히 소개해놓은 코너였는데요.
가운데 원판부분엔 어록 등등이 플레이 되고있었습니다.
최정호
1916년
11월 30일 황해도 해주 출생
1934년
19세 -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1949년
34세 - 서울 중구 초동에 삼협인쇄사 개업
1955년
40세 - 서대문 동아출판사에서 활자 개발 착수
1957년
42세 동아출판사체 완성
1958년
43세 - 삼화인쇄체 완성
1962년
47세 - 서울 종로구 내수동에 최정호 활자 서체 연구소 개업
1966년
51세 - 모리사와의 초청으로 일본 방문
1969년
54세 - 진명문화사 기획실장으로 근무 일본 모리사와사 연수 및 일본 샤켄 한글 원도 제작 착수
SK 세명조, SK 중고딕, SK태고딕 개발
1972년
57세 - 제 1회 한국출판학회상 수상
1974년
59세 - 궁서체, SK신명조, SK견출고딕, SK견출명조, SK세고딕, 신문명조, 신문고딕, SK중명조, 신문고딕, 환태고딕, SK중명조 개발
1988년
73세 - 최정호체 원도 완성 6월 5일 사망
1994년
문화체육부 한글유공자로 선정, 옥관문화훈장 추서
최정호 선생님은 서적 출판에 적합한 바탕체, 돋움체를 완성한 원도 설계자입니다.
미려한 글꼴은 1950년대 자모조각기 도입기에 출판 문화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1970년대에 보급된 사진식자 기술에 접목되어 널리 퍼져 한글 글꼴의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전시 안내팜플렛을 참고하여 작성 했습니다.
1957년 동아출판사 활자는 최정호 선생님의 첫 원도 활자이자 도서용 한글 원도 활자입니다.
세로쓰기용으로 제작되던 이전활자와 다르게 가로쓰기와 병행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고 동아출판사 사장에 의해 의뢰되어 1955년부터 3년에 걸쳐 완성한 활자체는
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고 합니다.
위쪽에 보이는 최정호체의 원도는
1988년 안상수 교수의 의뢰를 받아 설계한 마지막 원도라고 합니다.
왼쪽 위 세고딕 필름
왼쪽아래 중고딕 필름
오른쪽위 태명조 필름
오른쪽 2번째 견출명조 필름
오른쪽 세번째 견출고딕 필름
최정호 선생님의 작업도구들입니다.
최정호 선생님의 원도들을 뒤로하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