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NAS

시놀로지 DSM 깃서버 쉽게 이용하기!

by 헝탱 2016. 9.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정도 스팩이 되는 또는 적당히 스팩이 되고 나는 개발자다 라고 하시는 분들중에

깃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요. 깃허브 말고 개인나스에 깃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포스팅 후에 깃 서버 구축 포스팅 하기 까지 

한달이라는 시간이 걸렸는데요. 좋은 포스팅을 좋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여기저기 둘러다니며 

자료를 모으고 수집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편하고 쉬운 방법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첫번째. 시놀로지에서 설정하기!


1. 계정 및 그룹 만들기


다른데서는 우선 패키지 센터에서 다운로드 하는데 그렇게 되면 복잡하니 우선 계정과 터미널 설정부터 합시다.


사실 좀 만져보면 쉽지만 설명해드립니다. 

(그룹은 알아서 해주세요. 중요한건 아니니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 정하지만 별로 쓸모 없습니다.)


제어판- 사용자를 들어가서 아래의 순서대로 들어가 아이디를 새로 만드세요.

저는 "gituser"로 만들었습니다.





2. 터미널 설정 (SSH설정) & 포트포워딩


그리고 터미널에 들어가 SSH라는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주고 지정해야합니다.

왼쪽 맨아래로 내려가면 터미널 및 SNMP라는 것이 있습니다.

거기서 SSH서비스 활성화를 하면 22포트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저번 강좌에서 봤듯이 포트는 그냥 사용해도 되지만 바꿔주면 보안이 더 증가됩니다.)



그리고 포트포워딩은 이전 강좌에서 했기 때문에 기억 안나시면 보시면 됩니다.

이미지만 간략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위에서 설정한 포트를 열어주시면 되겠습니다.



3. 홈서비스 활성화


홈서비스를 활성화 하면 HOMES라는 폴더가 생성이 되는데 왜 활성화 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다른분들이 하라니깐 하는데 뭔가 시놀로지가 보안 업그레이드하면서 홈서비스있는 폴더만 전체 접근이 가능한가봅니다.

다른 폴더로 접근이 가능한지는 테스트를 안해봤습니다.

어짜피 우리는 gituser의 폴더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우선은 설정을 하고 넘어갑니다. 

(나중에 테스트 해서 문제 없으면 이 과정은 빼도 될것 같습니다. 대신 다른 폴더에 접근/수정 권한을 줘야할것 같지만...)



4. 패키지 센터에서 GITSERVER 다운로드 & 설정


다운로드 하고 다되면 켜주세요.



켜주시면 아래와 같이 계정별로 접근 권한을 주는것이 있는데 이거 해주셔야 문제가 안 생깁니다.



이렇게 나스와 공유기에서 설정하는 부분은 모두 끝났습니다.

다음은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방법인데요.


맥을 사용하는 분들은 다른분 블로그에 잘되어 있더라구요.

우선은 제글 보시고 어떤 개념으로 되는건지 아시면 됩니다.



두번째. 리포지토리 만들기


GITHUB이나 다른 곳에서 지원해주는 부분을 우리가 직접 해야하는 과정입니다.

리포지토리 만들기 라는 과정인데요. 깃허브에서는 프로젝트명만 입력하면 다 만들어주고

SSH를 그냥 생성해줍니다. 그런데! 우리는 다해줘야해요.


그래서 지금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다른글 보면 PuTTY 창만 보여주고 "명령어 적으세요." 라고만 합니다.

우선은 쉽게 하시려면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putty.exe

저도 사용한 것이니 안심하고 받으세요.


받아서 실행시키고 1번에는 자신의 접속 IP를 2번에는 포트를 적으세요,

(포트를 수정하지 않으셨다면 22를 적으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우선은 명령어를 적은 화면을 보여드렸는데요.

명령어 별로 따로 알려드리겠습니다.



한줄씩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되는 형식으로 한줄씩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계정아이디 입력

> 관리자 계정으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비밀번호는 자신의 계정 비밀 번호


2. sudo -i 

> 입력후 비번을 치라고 나오는 같은 비번 치면 됩니다.


3. cd /var/services/homes/gituser

> 폴더경로로 진입하는 명령어로 git폴더를 생성하기 위해서 진입 했습니다.


4. mkdir test.git

> git 폴더를 만드는 과정이구요. "test.git"는 프로젝트 네임인데 원하시는 걸로 바꿔도 됩니다.

이후에 cd test.git을 해서 더 들어 갑시다.


5. git init --bare

> git이 읽어올 수 있도록 관련된 파일들을 초기화 시키는 명령어 입니다.

그리고 다시 폴더를 나옵니다. 명령어는 "cd .."


6. chown -R gituser:users test.git

> chown -R (권한을 줄 아이디):(아이디의 그룹) (프로젝트명) 으로 보시고 알맞게 적으시면 됩니다.



위의 과정을 거치면 리포지토리까지 모두 설정이 되었습니다.

깃허브에서 버튼 하나면 되는거 지금까지 한겁니다.

마지막으로 SSH를 이용해서 연결 하시면 됩니다.


SSH는 아래와 같은 규칙으로 됩니다.


ssh://(NAS에 생성했던 계정)@(NAS의 DDNS):(포워딩한 port)/volume1/homes/(사용자 계정 폴더)/(Repository 폴더 명)


(NAS에 생성했던 계정)  ->  gituser

(NAS의 DDNS) -> 192.168.0.10 (내부용)

(포워딩한 port) -> 22

(사용자 계정 폴더) -> gituser

(Repository 폴더 명) -> test.git


지금까지 해왔던것으로 보면 위와 같습니다.

(아이피는 자기걸 적으면 되구요. 외부에서는 아직에서 연결을 해보진 않았습니다.)

외부에서접속하는 DDNS주소를 적으면 됩니다. 테스트를 해봤더니 잘 되네요. "http://" 이부분을 떼고 쓰셔야 합니다.


그외 GIT을 사용하는 방법은 인터넷에 "생활코딩" 이라는 곳을 검색해서 GIT 사용하는 방법을 보시면 됩니다.

생활코딩 사이트에서는 소스트리를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